English & Conversational Korean/영어 & 일상 회화 한국어
*More availability coming Sep 2025/2025년 9월부터 상담 가능 시간이 더 많아집니다
English & Conversational Korean/영어 & 일상 회화 한국어
“What does it feel like to take up space?”
Space can mean the way you walk into a room, how loud your voice is, or how tall you are.
But what about emotional space? In relationships, at work, and in yourself?
Maybe you’re the one others rely on, the ‘strong one’. Maybe you tend to hold things to yourself because it feels too vulnerable to share and it might burden someone else. Or you’re navigating systems that have made it hard to feel like you belong in a room.
I believe healing happens in spaces where you feel safe enough to feel joy and connection. My role is to offer steady attention and help you reconnect with parts of yourself that you might have had to ignore.
I’ve seen how cultural misunderstanding in mental health care can lead to misdiagnosis, minimized experiences, or emotional labor to explain yourself. I aim to reduce that burden, so you don’t have to translate your experience just to be understood.
Sessions might include moments of light humor and comfort alongside serious work.
“공간을 차지한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요?
공간은 내가 방에 들어올 때의 모습, 목소리 크기, 키 같은 걸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마음의 공간은 어떨까요? 관계 속에서, 직장에서, 그리고 나 자신 안에서요.
혹시 다른 사람들이 의지하는 ‘강한 사람’인가요?
힘든 마음을 혼자 참고, 다른 사람에게 짐이 될까 봐 말하지 못한 적이 있나요? 아니면 내가 있는 자리가 편하게 느껴지지 않는 환경 속에 있나요?
저는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공간에서 치유가 시작된다고 믿습니다.
저는 문화 차이 때문에 잘못 이해받거나, 경험이 작게 여겨지거나, 나를 설명하느라 힘들어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 이해받을 수 있도록 그 부담을 줄이고 싶습니다. 상담 안에서는 진지한 이야기뿐 아니라 가벼운 웃음과 편안함도 함께 할 수 있습니다.
What is Art Therapy?/미술치료는 뭔가요?
As a practicing visual artist, I have a diverse understanding of art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our sessions. Art therapy is a form of therapy that utilizes art-making and visual expression to deepen or facilitate the therapeutic process. It’s open to everyone, no artistic experience is necessary and the goal is not the end product, but the creative process. Trained in both art and talk therapy, I’m equipped to guide you through both the creative and verbal aspects of therapy.
I practice art therapy as a collaborative process where we explore the meaning of your work together. Instead of reading or interpreting your art, we explore what you felt and thought while creating your piece. Kind of like an artist interview! Whether you’re interested in exploring new materials, want to try an activity catered to a particular challenge, something to fidget with during sessions, or using art as a medium to express yourself, I’m here to facilitate a safe, non judgemental space.
저는 현재 활동하는 예술가로서, 다양한 미술 재료와 기법을 알고 있습니다.
미술치료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미술 경험이 전혀 없어도 괜찮습니다.
목표는 완성된 작품이 아니라 만드는 과정입니다.
저는 미술치료와 대화 상담 둘 다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두 가지를 함께 진행할 수 있습니다.
미술치료는 함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작품을 만들면서 어떤 생각과 감정을 느꼈는지 같이 나눕니다.
새로운 재료를 써 보고 싶거나, 고민에 맞춘 활동을 해보고 싶거나, 상담 중에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을 원하거나,
말로 하기 어려운 마음을 표현하고 싶을 때, 안전하고 편안한 공간에서 함께 할 수 있습니다.
Experience/경험
In 2020, several experiences pointed me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counselor alongside my path as an artist. Beginning with the gap in mental health services I witnessed at the time, I saw how many people with marginalized identities were struggling to access affirming, inclusive care. A pivotal moment was when someone I cared about shared the depth of their pain as a way to ask for help, which led to the decision to become a therapist. My own experience of therapy helped me understand how essential representation and cultural understanding are in mental health care.
I went on to earn my MA in Art Therapy and Counseling and BFA in Studio Art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My training includes art therapy, DBT, and narrative therapy, grounded in strengths-based, relational, trauma-informed, and anti-oppressive approaches. I also bring LGBTQ+ and disability allyship into my work.
In my work as a therapist, I’ve supported clients across both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s. This has included leading teen wellness groups through UChicago Medicine, facilitating art therapy an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chronic mental health and intellectual disability diagnoses, and organizing community art workshops. I’ve also worked with immigrants, refugees, neurodivergent adults, and BIPOC/ALAANA communities. These experiences helped me cultivate a trauma-informed, culturally responsive lens.
2020년에 여러 경험을 통해 미술치료/상담사가 되기로 했습니다.
미국에서 정신 건강 서비스에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안전하고 더 깊은 상담을 받기 어렵다는 것을 보았고, 제가 아끼는 사람이 힘든 마음을 나누며 도움을 요청한 순간이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상담을 받으며 문화적 이해와 대표성의 중요성도 깨달았습니다.
저는 시카고예술대학(SAIC)에서 미술치료와 상담 석사, 그리고 순수미술 학사를 받았습니다. 미술치료, DBT, 내러티브 치료를 배웠고, 사람의 강점을 살리고,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트라우마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상담합니다. LGBTQ+와 장애 인식에 대한 지지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동안 청소년 그룹, 성인 프로그램, 그리고 커뮤니티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이민자, 난민, 신경다양성, BIPOC 커뮤니티와도 함께 하며, 각자의 문화와 경험을 존중하는 상담을 해왔습니다.
Languages/언어
한국어를 가볍게 사용하는 것은 환영합니다! 저는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서 대화하는 것이 편한 클라이언트와 잘 맞습니다. 제가 한국어로 일상적인 대화는 할 수 있지만, 심도 있는 대화 주제나 위기 상황, 진단, 치료 계획과 같은 중요한 치료 논의에서는 모든 내용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상적으로는 번역하거나 언어에 적응하는 부담이 클라이언트에게 있어서는 안 됩니다. 이 정도의 언어 능력이 괜찮으시다면, 편하게 연락 주세요!
Speaking Korean lightly is welcome! I am a good fit for clients who are comfortable mixing Korean and English. While I can engage in everyday conversations in Korean, it may be difficult to clearly express everything in in-depth conversations, crisis situations, diagnoses, and treatment planning, as well as other important therapeutic discussions. Ideally, the burden of translation or language adaptation should not fall on the client. If this sounds like a fit for you, feel free to reach out!
Elizabeth Yoo-lae Cho is in network for the following plans:
Aetna Blue Cross Blue ShieldFirst session | $180 |
Ongoing sessions | $180 |
Monday | -- |
Tuesday | 5:00 p.m. - 7:00 p.m. |
Wednesday | 5:00 p.m. - 7:00 p.m. |
Thursday | 5:00 p.m. - 7:00 p.m. |
Friday | 5:00 p.m. - 7:00 p.m. |
Saturday | -- |
Sunday | -- |